목록전체 글 (298)
\(@^0^@)/

연산자 : 하나 이상의 표현식을 대상으로 산술, 할당, 비교, 논리, 타입, 지수 연산 등을 수행해 하나의 값을 만든다. ("피연산자를 연산하여 새로운 값을 만든다"라는 동사의 역할) 피연산자 : 연산의 대상,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 이어야 한다. ("값"이라는 명사의 역할) ==> 연산자는 값으로 평가된 피연산자를 연산해 새로운 값을 만들고, 피연산자는 연산의 대상이 되어야 하므로 값으로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 JS가 제공하는 연산자 ] 산술 연산자 문자열 연결 연산자 할당 연산자 비교 연산자 논리 연산자 타입 연산자 [ 그 외의 연산자 ] ?. 연산자 ?? 연산자 delete 연산자 new 연산자 instanceof 연산자 in 연산자 [ 산술 연산자 ] 피연산자를 대상으로 수학적 계산을..

데이터 타입(data type)은 값의 종류이며, 자바스크립트의 모든 값은 데이터 타입을 갖는다. JS는 7개의 데이터 타입을 제공하며, 원시 타입(primitive type)과 객체 타입(object/reference type)으로 분류 됨 원시 타입(primitive type) : 숫자(number), 문자(string), 불리언(boolean), undefined, null, 심벌(symbol) 객체 타입 : 객체, 함수, 배열 등 숫자 타입의 값 1과 문자열 타입의 값 '1' 은 비슷해 보이지만 전혀 다른 값. ex) 숫자(number) 타입의 값은 주로 산술 연산을 위해 생성하지만, 문자열 타입의 값을 주로 텍스트를 화면에 출력하 기 위해 생성. 그렇기에, 개발자는 명확한 의도를 가지고 타입을 ..

오랫동안 해결을 못 했던 부분을 오늘 드디어 완성하였다..... 이렇게 보니, 또 어려운 게 아닌 거 같은데 왜 매번 생각이 나질 않는 걸까?ㅠ 해보고 계속해보고 또 해보고... 그래서 내 것으로 만들어서 빨리 코딩 로봇이 되고싶으다 그럼 열심히 좀.. 우선 나름 엄청난 수정을 하였다, 결과는 만족! 코드가 훨씬 가독성 있고, 간결해졌기 때문에! 수정을 꽤 많이 해서 어디서부터 어떻게 글을 써내려야 할지 모르겠지만, 그냥 내 머릿속을 정리하자는 마음으로 적어보려 한다. 1. 카테고리를 클릭하면, 어떤 카테고리가 클릭되어 있는 상태인지 border-top으로 구분. 2. navBar에서 프로필 아이콘을 클릭하면, 게시물 쪽 포스트들이 렌더 되어야 하고, 마찬가지로, 저장됨 아이콘을 클릭하면, 저장됨 쪽 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