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298)
\(@^0^@)/

액션과 계산, 데이터의 차이를 알기 챕터 1부터 계속 말하고 있지만, 다시 한번 정리해보자. 액션 실행 시점과 횟수에 의존한다. 다른 말로 부수 효과(side-effects), 부수 효과가 있는 함수(side-effecting function), 순수하지 않은 함수(impure function)라고 부르기도 한다. ex) 이메일 보내기, 데이터 베이스 읽기 계산 입력으로 출력을 계산한다. 다른 말로 순수 함수(pure function), 수학 함수(mathematical function)라고 부르기도 한다. 계산은 계산을 호출하는 코드를 계산 결과로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참조 투명(referentially transparent)한다. ex) 최댓값 찾기, 이메일 주소가 올바른지 확인하기 데이터 이벤트에 ..

- 유데미 알고리즘 연결 리스트 연결 리스트 연습 문제풀이인 줄 알았는데 연결 리스트 학습했던 것 메서드 별로 복습하는 간단한 연습들이었다. 그래도, 이렇게 연습하면서 반 암기, 반 이해할 수 있으니 좋은 것 같음. - 쏙쏙 들어오는 함수형 코딩 책 챕터 2 : 현실에서의 함수형 사고 https://dev-minju.tistory.com/286 - 제로베이스 JS 강의 canvas 학습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CanvasRenderingContext2D CanvasRenderingContext2D - Web APIs | MDN The CanvasRenderingContext2D interface, part of the Canvas API, ..

제어 컴포넌트 (Controlled Component) HTML에서 , , 와 같은 폼 엘리먼트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입력을 기반으로 자신의 state를 관리하고 업데이트합니다. React에서는 변경할 수 있는 state가 일반적으로 컴포넌트의 state 속성에 유지되며 setState()에 의해 업데이트됩니다. 우리는 React state를 “신뢰 가능한 단일 출처 (single source of truth)“로 만들어 두 요소를 결합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폼을 렌더링 하는 React 컴포넌트는 폼에 발생하는 사용자 입력값을 제어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React에 의해 값이 제어되는 입력 폼 엘리먼트를 “제어 컴포넌트 (controlled component)“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이전 예시가 ..